✅ '=='와 '==='는 비교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 '==' 연산자 (동등 연산자):
'=='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가 동등한지 비교합니다.
두 값의 타입이 다르면 타입 변환을 수행한 후 비교합니다. 이러한 형 변환을 '타입 강제 변환' 또는 '타입 강제 형변환'이라고 합니다. '==' 연산자는 타입 강제 변환으로 인해 예기치 않은 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 == 1은 true로 평가됩니다. 여기서 문자열 '1'이 숫자 1로 형 변환되어 비교됩니다.
✅ '===' 연산자 (일치 연산자):
'===' 연산자는 엄격한 동등성(strict equality)을 검사합니다.
두 값의 타입과 값이 완전히 같은지를 비교합니다. 타입 강제 변환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 === 1은 false로 평가됩니다. 여기서는 값 뿐만 아니라 타입까지 비교되기 때문입니다.
엄격한 동등성을 검사하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결과를 피할 수 있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
'기술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_JSX란 무엇인가요? (0) | 2024.02.14 |
---|---|
11_데이터 10,000개를 가지고 무한 스크롤 구현시에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점은? (0) | 2024.02.13 |
9_Arrow Function 무엇인가? (0) | 2024.02.13 |
8_Async/Await & Promise의 차이 (0) | 2024.02.13 |
7_변수 선언 키워드 var : let : const 차이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