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_Read_Write

(12)
마키아벨리_군주론(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만화) 제 1장 은 어떤 책일까? - Machiavellism = (권모술수) = 목적을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이나 방법도 허용된다는 사상. - 군주론의 핵심 : 위대한 군주 되는 방법 - 당시. 이탈리아 5개 도시국가로 분열 (유럽 삼류국가로 전락) [ 교황 / 나폴리 / 베네치아 / 밀라노 / 피렌체 ] - 당시 15 - 16세기 초. 절대주의 군주 정치가 큰 흐림 - 중세 유럽 - 기독교 왕국 사상 / 봉건 제도 - 봉건제도 = 군주 & 신하 (서로 충성 계약) *** 기독교 국가의 이론 제 2장 마키아벨리는 어떤 사람일까? - 1469. 5. 3. 이탈리아 피렌체 출생 피렌체 : 르네상스의 발상지 / 예술, 문학 / 다빈치, 미켈란젤로, 단테 - F : 유명 변호사 ...그러나 가난? - 당시 메디치가 -..
여덟단어_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7_ 책을 읽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좀 더 올바른 시각으로 삶을 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8_ 인생은 강의 몇 번, 책 몇 권으로 변하지 않는다. 9_ 황지우 시인 ‘개미 날개만한 지식으로 화엄장천을 날아다니는구나’ 1강 자존 (自 스스로/ 자기 자 + 尊 중할/ 높이다 존 = 스스로 존중하는 마음) 당신 안의 별을 찾으셨나요? 16_ 아모르 파티(Amor fati) 운명을 사랑하라 (라틴어)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라틴어) 21_ 우리는 나의 ‘자존’을 찾는 것보다는 바깥의 ‘눈치’를 보는 것이 습관 /‘다름’을 두려워 한다. 22_ 기준점을 바깥에 두고 남을 따라가느냐, 아니면 안에 두고 나를 하느냐 (쉽나 그게 말처럼// 24_ 사회적..
율곡의 아동 교육 지침 17학규 조선의 대교육가 율곡은 대제학에 있을 때, 여덞 살 전후 아동 교육의 지침으로, [소아지수]라는 17개의 소학 학규를 제정하여 사용,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에게 받은 ‘사람 만드는 교육’이 그의 철학관을 만들었고, 최종적으로17학규에 이르렀다. 1. 교훈을 쫓지 않고 다른 일에 마음을 쏟거나 2. 부모가 명령한 바를 곧 시행하지 않거나 3. 손윗사람에게 불경하여 발언을 거칠게 하거나 4. 형제가 우애하지 않고 서로 다투거나 5. 음식을 서로 다투어 서로 양보하지 않거나 6. 다른 아이를 침해하여 업신여겨 싸우거나 7. 서로 경계를 받지 아니하고 화를 갑자기 내거나 8. 손놀림이 단정치 못하여 소매를 흩뜨리고 한쪽 발로 기대서거나 9. 걸음걸이가 경솔하여 도약하며 건너뛰거나 10. 실없는 농담을 좋아하고 웃..
율곡 이이, 스무 살 때 자신을 경계하기 위해 지은 [자경문] 1. 뜻을 크게 갖고서 성인聖人의 삶을 따른다. 2. 마음이 안정된 사람은 말이 적으니, 말을 적게 한다. 3. 마음이란 살아있는 것이다. 마음이 어지러울 때는 정신을 한데 모으고 담담하게 그 어지러움을 살핀다. 그렇게 마음공부를 계속하다보면 마음이 고요하게 안정되는 순간이 반드시 올 것이다. 💡 4. 홀로 있을 때 헛된 마음을 품지 않는다. 모든 악은 홀로 있을 때 삼가지 않음에서 비롯되니, 마음속에서 올바르지 않은 생각이 일어나는 것을 두려워하고 경계한다. 💡 5. 앉아서 글만 읽는 것은 쓸데없다. 독서는 일을 잘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일이 없으면 그만이겠지만, 일이 있을 땐 옳고 그름을 분간해서 합당하게 처리한 뒤 글을 읽는다. 6. 부귀영화를 바라지 않는다. 일을 할 때 대충 편하게 하려는 마..
리딩으로 리드하라 단면적인 책 읽기가 아니다. 입체적 독서, 진정한 독서는 인문고전 저자와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문장 뒤에 숨어있는 천재의 정신을 만나는 것 ✅ 20_ 천재들의 생각하는 방식과 접촉한다는 자체가 중요!! ✅ 22_ 세계 최고의 두뇌를 가진 천재에게 2시간씩 개인지도 받는 방법 (천재 자신의 모든 정수를 담아놓은 것이 책을 읽는 것) ✅ 30_ 세인트존스 대학 4년 내내 인문고전 100권 읽고, 토론하고 에세이 쓰는 게 전부인 교육과정 ✅ 57_ 1000년 이상된 지혜의 산삼 두뇌에 실컷 먹이기 ✅ 67_ 위대한 고전 집필가와의 정신적 대화 ✅ 73_ 천재는 지식이 아닌 지혜의 영역이다. 천재는 원리 자체를 만들어 내거나 원리를 발견해내는 사람들이다. 77_ ‘지식’은 인간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삶을 꿰뚫..
미움받을 용기 2_목차 1-1. 알려지지 않은 ‘심리학 제3의 거장’ 1-2. 인간이 변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1-3. 트라우마란 존재하지 않는다 📌1-4. 인간은 분노를 지어낸다 1-5. 과거에 지배받지 않는 삶 1-6. 소크라테스, 그리고 아들러 1-7. 당신은 ‘이대로’ 좋습니까? 📌1-8. 나의 불행은 스스로 ‘선택’한 것 📌1-9. 인간은 끊임없이 ‘변하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 📌올바른 세계관의 중요성 1-10. 나의 인생은 ‘지금, 여기’에서 결정된다 ----------------------------------- 2-1. 왜 자기 자신을 싫어하는가 2-2.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고민’이다 2-3. 열등감은 주관적인 감정이다 2-4. 변명으로서의 열등 콤플렉스 2-5. 자랑하는 사람은 열등감을 느..
지금, 여기_미움받을 용기 “우리 인생에도 ‘길잡이 별’이 필요하네. 그 별은 이 방향으로 쭉 가다 보면 행복이 기다리고 있을 거라는 믿음을 주는 절대적인 이상향이라네.” ✅ 5-1. 과도한 자의식이 브래이크를 건다 ✅ 5-2. 자기긍정이 아닌 자기수용을 하라 1)‘자연스러운 나’가 되지 못하는 것 X - 남들 앞에서 그렇게 행동하지 못할 뿐 2) 공동체 감각 기르기 위해 = 자기수용 / 타자신뢰 / 타자공헌 3) ① 자기수용 : 중요한 것은 무엇이 주어졌느냐가 아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 ‘하지 못하는 나’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할 수 있을 때까지 앞으로 도전 어떻게 해야 좋을까? [고민] * 긍정적 포기 : 변할 수 있는 것과 변할 수 없는 것 구분 [바꿀 수 있는 것에 주목] - 신이여, 바라옵건대 제게 바꾸지 ..
세계의 중심은 어디에 있는가_미움받을 용기 “자네도 나도 세계의 중심이 아니야. 내 발로 인간관계의 과제에 다가가지 않으면 안 되네. ‘내가 이 사람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까?를 생각해야지.” ✅ 4-1. 개인심리학과 전체론 1) 개인 심리학(Individulal Psychology) = "Individulal" 어원 = “분할할수 없다”는 의미 = 그 이상 나눌 수 없는 최소 단위라는 뜻 / 2) 아들러 정신vs신체 / 이성vs감정 / 의식vs무의식 나누는 이원론 가치관 반대 = 독립된 개체의 자극을 받아 행동하는 것 X / 💡인간은 통일된 전체인 셈 3) 💡전체로서의 나 = 전체론 4) 과제의 분리 = 타인 배척발상 X / 복잡한 인간관계 실타래 푸는 과정 ✅ 4-2. 인간관계의 목표는 ‘공동체 감각’을 향한 것 1) 인간관계의 목표 =💡 ‘..
타인의 과제를 버려라_미움받을 용기 “ 행복해지려면 ‘미움받을 용기’도 있어야하네. 그런 용기가 생겼을 때, 자네의 인간관계는 한순간에 달라질 걸세” ✅ 3-1. 인정의 욕구를 부정하라 1) 인간관계의 무엇이 우리의 자유를 빼앗는 것일까? - 예) 적 X 부모님 존재 - 그들의 의향을 무시하기엔 너무 가까운 관계 “인정욕구” 2) [아들러 주장] 타인에게 인정받기 원하는 마음 부정 ✅ 3-2. ‘그 사람’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살지 말라 1) 왜 인간은 타인에게 인정받기를 바라는 걸까? -상벌교육의 영향(인정욕구의 위험함) 2) 타인의 기대 만족시킬 필요 X - 💡타인의 인정(평가)을 바라고 살면 끝내, 타인의 인생 사는 것 3) 타인에게 인정 받는 것 부정 -> 자신이 결정한 대로 행동 -> 💡"과제의 분리" 4) 방약무인하게 행동하..
인간관계:직면_미움받을 용기 ✅2.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 “아무리 어려워 보이는 관계일지라도 마주하는 것을 회피하고 뒤로 미뤄서는 안돼. 가장 해서는 안 되는 것이 이 상황 ‘이대로’에 멈춰 서 있는 것이라네 ” ✅ 2-1. 왜 자기 자신을 싫어하는가 1) 단점만 보이는 것은 나 자신을 좋아하지 않기로 결심했기 때문(목적 달성을 위해 단점에만 주목) 2) 객관화 / 예) 적면공포증여학생(남자 -> 실연) ‘나’의 존재와 가능성을 모조리 부정당하는 것 (두려움) 3) 탓- 적면공포증 (덕분에) 너 자신과 세상에 대한 불만,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 (납득) 할 수 있는 여지. 4) 카운슬러는 그 증상을 고쳐서는 X - (그러면) 스스로 일어서기 힘들어짐 [코칭기법] 용기부여접근법 5) 용기부여 = ‘지금의 나’를 (직면) ..